원전시설 해체 기술

원자력시설 해체(Decommissioning)는 원자력법에 따라 허가 또는 지정을 받은 시설의 운영을 영구적으로 정지(영구정지)한 후 해당시설과 부지를 철거하거나 방사성오염을 제거함으로써 관련 법의 적용대상에서 배제하기 위한 모든 활동을 의미합니다. 우리나라 최초 원전인 고리 1호기의 영구정지 및 해체 방침이 확정됨으로써 원전 해체사업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습니다. 원전해체에 대비하여 이에 따라 한국전력기술은 원전 해체사업을 위한 중장기 기술개발을 2000년 이전부터 수행하여 왔습니다.
우선 한국전력기술은 우리나라 최초의 연구용 원자로 ‘TRIGA MARK Ⅱ & Ⅲ’ 해체사업과 '우라늄변환시설해체사업'에 참여하여 방사성폐기물 처리 등 관련 기술 및 데이터 축적을 완료하였습니다. 이를 바탕으로 향후 본격화되는 원전해체시장에 대비한 핵심기술 개발을 추진하고 있으며, 프로이센일렉트라(독일), 웨스팅하우스(미국) 등과 원전해체전문가 양성, 해체 자료기술 이전 등을 골자로 하는 기술전수 사업을 진행하였습니다.
한국전력기술은 2018년 2월 고리1호기해체종합설계용역을 수주하여 수행 중에 있으며 월성1호기 영구정지 인허가문서(DSAR)용역을 수행하였습니다.
원자력시설 해체사업 실적
용역명 | 용역기간 | 발주처 |
---|---|---|
원자력시설 제염·해체 기술개발전략 연구 |
2000년 10월~2001년 03월 |
한국과학기술평가원 |
TRIGA 원자로 제염·해체공사 전문가 분야 인력지원 |
2001년 03월~2008년 12월 |
한국원자력연구원 |
우라늄 변환시설 해체계획서 개발지원 |
2001년 11월~2002년 02월 |
한국원자력연구원 |
우라늄 변환시설 환경복원사업 인허가 전문인력지원 |
2003년 03월~2004년 02월 |
한국원자력연구원 |
우라늄 변환시설 해체공사 인력지원 |
2004년 06월~2009년 12월 |
한국원자력연구원 |
원전 해체 폐기물 및 방사능 재고량 평가용역 |
2007년 03월~2009년 05월 |
한국수력원자력(주) |
원전 해체 폐기물 실태조사용역 |
2011년 08월~2012년 01월 |
한국원자력환경공단 |
해체원전 비용 및 최적화를 위한 계통개조 연구 용역 |
2016년 08월~2016년 11월 |
프로이센일렉트라(독일) |
월성1호기 영구정지인허가문서 작성 및 인허가지원 용역 |
2018년 10월~2020년 08월 |
한국수력원자력 |
고리1호기 해체종합설계용역 |
2018년 02월~2032년 06월 |
한국수력원자력 |